<inferior alveolar nerve block> 엄지를 coronoid process에 촉진시키고 엄지손가락의 손톱을 2등분 하는 높이에서 자입! 전달마취법이다~ gow gates block 악설골 신경과 하치조신경이 일찍 빨리 분지되면 위의 하치조신경 전달마취같은 경우는 마취가 제대로 되지 않을 수 있는데, gow gates 방법은 과두 경부를 내부에서 자입하는 방법으로 앞선 방법보다 더 상방에서 자입하므로 신경이 빨리 분지되어도 문제가 없어 성공확률이 높다! 그 외에도 여러가지 부교감 신경절들과 삼차신경(눈,상악,하악)과 얼굴 신경, 혀인두신경의 분포를 공부하였음~!
어제 쓰려다가 못쓴거! 국소마취학!!! 에피네프린 과 b-blocker 는 조심해서 써야한다. 에피네프린은 혈압을 상승시키는 작용을 하고 b-blocker는 a receptor, b receptor에 둘다 작용하는데 a1 receptor는 혈관 수축, b1 receptor는 심근수축, 심장박동 증가, b2 receptor는 혈관이완, 기관지 이완의 작용을 각각 한다. selective b1 blocker(ex.metoprolol)의 경우 b1 receptor만 block하여 a1 receptor이 작용해도 b2 receptor가 혈관 이완 작용을 해서 혈압이 과도하게 높아지는걸 막아주는데 non selective b-blocker(ex.propranolol)의 경우 b2 receptor도 block되기 때문에 a1 receptor의 혈관 수축 작용만 작용...! 결과적으로 고혈압이 있는 사람에겐 엄청나게 위험하다!
외과 <창상의 치유기전> wound healing - primary, delayed primary, secondary healing이 있다. soft tissue healing는 inflammatory phase, proliferation, wound maturation. inflammatory phase에서는 blood platelet, neutrophil, macrophage, mast cell, lymphocyte 있다. proliferation 시에는 fibroblast가 chemotactic attraction, myofibroblast로 변화, collagen 생산. wound maturation는 scar의 형태와 부피가 변하는 시기, 이때 remodeling은 collagen deposition과 degradation의 상호작용. <실신과 쇼크> 치료시에는 쇼크가 일어날 수 있는데 shock와 syncope를 구분해야한다. shock는 전신에 산소와 영양소가 부족해 cellular death, organ failure로 이어지는 것. syncope는 뇌에 산소가 부족해서 실신하는 현상. 이 중 vasovagal syncope는 공포-카테콜아민 분비- peripheral vascular resistance 감소- 말초에 피 뭉침- 혈압 감소- 보상 위해 심장박동과 호흡 증가 - 보상 실패- 심장복동, 호흡 감소, 저혈압 - 뇌로가는 산소가 부족해서 syncope하게 되는 과정이다. 이 때는 supine position으로 만들어 준 후 A,B,C 적용, 혹은 CAB A = airway, B= breathing, C= circulation shock에는 hypovolemic shock인데 이는 혈류량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shock이다. 설명이 조금 알아듣기 어렵게 적혀있어 공부를 해도 속력이 안 붙는다...ㅠㅠ 내일은 오늘 못한 국소마취학과 외과를 조금 더 봐야할 것 같다.
댓글
댓글 쓰기